1. 널뛰기
널뛰기는 고려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우리나라의 전통 놀이이다. 널뛰기는 주로 여자들이 많이 즐겼던 놀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다. 널뛰기를 할 때에는 시소처럼 나무로 기구를 만든 다음, 두 사람이 각각 판자의 끝에 올라가 번갈아 가며 뛴다. 주로 단오에 행해졌다
2. 씨름
씨름 역시 단오에 주로 행해진 민속경기다. 씨름은 힘뿐만 아니라 기술도 승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상대가 힘으로 쓰러트리려고 하면 되치기 기술로 상황을 역전시킬 수도 있다
3. 연날리기
연날리기의 정의는 ‘연을 공중에 띄우는 놀이’이다. 연날리기는 오랜 옛날부터 전승되어 오는 민족전래의 기예의 하나로서 전 연령층의 남자들의 흥미를 끌어 해마다 음력 정초가 되면 우리나라 전국에서 행해지던 놀이이다. 아이들은 연에 달린 실을 튼튼하게 만들어, 연을 날려 서로의 연을 휘감아서 어떤 연이 먼저 끊어지나 겨루기도 하였다
4. 공기놀이
옛날부터 주로 여자 아이들이 많이 행해오던 놀이로, 작은 돌 다섯 개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공기놀이를 즐길 수 있다. 공기놀이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공기놀이를 할 때 위로 던진 돌을 잡지 못하거나, 잡아야 하는 수의 돌의 개수 외에 다른 돌을 건드리거나 할 경우 순서가 다음 사람에게로 넘어가게 된다
5. 윷놀이
윷놀이는 윷이라는 놀이도구를 사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놀 수 있는 놀이이다.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주로 행해지며, 요즘에는 주로 설날에 많이 행해지고 있는 놀이이다. 윷놀이는 경기에 따라 뒤도 등의 변이요소가 있기도 해서 야구처럼 끝까지 승부를 알 수 없는 놀이이다. 말이 팀당 4개씩 주어지는데 이 말들이 모두 출발해서 출발점으로 먼저 돌아오는 팀이 이긴다
6. 팽이치기
주로 겨울에 소년들이 하는 놀이이다. 팽이는 나무를 둥그렇게 약간 삼각형 모양으로 깎아 만들고, 맨 밑 끝 부분에 못을 넣어 만든다. 팽이채는 막대기 끝에 줄을 달아서 만든다. 서로 팽이를 돌려서 부딪치게 하거나 해서 더 오래 서 있는 팽이의 주인이 이긴다
7. 투호
일정한 거리에 있는 통에 손으로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이다. 통에 넣은 화살의 개수가 더 많은 사람이 이긴다.
8. 비석치기
일정한 거리에 서있는 돌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다른 돌로 쓰러뜨리는 놀이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난이도도 높아지며, 더 높은 단계까지 성공하는 사람이 이긴다
9. 제기차기
제기를 가지고 발로 차는 놀이다. 제기는 엽전이나 쇠붙이를 여러 갈래의 천으로 감싸서 만든다. 서로 제기를 차서 제기를 찬 횟수가 더 많은 사람이 이긴다.
10. 강강술래
음력 8월 15일 (한가위) 호남지역에서 주로 여자들이 행했던 놀이이다. 현재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호남지역의 민속놀이보다는 전국화된 놀이라고 볼 수 있다. 강강술래는 여자들이 둥글게 원을 그리고 처음에는 느린 가락에 맞춰 늦은강강술래를 추다가 점점 빠른 가락에 맞춰 잦은강강술래로 이어진다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파리 대처법 - 식초는 NO!!! (0) | 2012.08.24 |
---|---|
절전노트 답 및 해답 공개! (0) | 2012.08.24 |
안랩 외장하드 출시! (0) | 2012.08.21 |

IE9 이상으로 브라우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크롬, 파이어폭스 등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세요.